Inuit Blogged

나를 위한 심리학, 인간관계가 행복해 지는 본문

Review

나를 위한 심리학, 인간관계가 행복해 지는

Inuit 2007. 9. 24. 09:31
몇 주 전 일입니다.
I: 영어는 잘 하십니까?
A: 네, 잘 합니다. 준 네이티브란 소리를 듣고 있습니다.
I: 네, 그럼 영어로 질문하겠습니다.
답변은 가관이었습니다. 어법은 broken English고, 발음은 '탑.오.브.더.월.드.' 수준이었습니다. 도대체 네이티브가 아프리카 원주민이라고 생각하는지, 준 네이티브라는 단어를 쉽게도 쓰지요.
문제는 이런 면접자가 이 사람만이 아니고, 올해만도 몇차례 상봉을 했다는 사실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철우

제 블로그 오래 보신 분은 알겠지만, 전 심리학에 관심이 많습니다. 기업운영과 커뮤니케이션 스킬 관점의 심리학이 촛점입니다. 상대적으로 개인 관점의 심리학이나 심리 테스트는 제게 별로 흥미롭지 않습니다. 그런 면에서 이 책은 제 독서리스트에 오르기 힘든 토픽을 다루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읽기 시작한 이유는 umentia blog의 rokea님에 대한 관심 때문이었습니다. 태터앤미디어의 일원이기도 하고, 그 전에도 종종 메타블로그의 좋은 글 리스트를 통해 글을 접한 바 있었습니다. 우연히 온라인 서점을 뒤지다가 '나를 위한 심리학'의 저자가 같은 분임을 알게 되어 반가운 마음으로 읽었습니다.

책의 골자는 제목처럼 철저히 나에 대한 심리학입니다. 주아(I)보다는 객아(me) 중 사회적 자아가 테마입니다.

그리고, 많은 내용은 자기제시(Self-presentation)에 할애됩니다. 자기제시란 말 그대로 자신의 이미지를 manipulate하는 것입니다. 그 기간의 장기성에 따라 전술적, 전략적 자기제시가 있고, 반응의 주도성에 따라 방어적, 주장적 자시제시로 나뉩니다. 이 중 전략적 자시제시는 자기계발서나 정신분석학의 영역에서 오히려 많이 다루므로, 전술적 부분이 사회심리학의 영역에 속한다고 보입니다.

스스로를 불리한 조건으로 몰아 넣는 self-handicapping이나 비위맞추기, 자기선전, 솔선수범, 변명, 심지어 협박과 애원 역시 이러한 심리적 기제가 작용합니다. 각각의 자세한 내용은 책을 참조하는게 빠를 듯 합니다.

또한, Self-monitoring 을 잘 하는 사람을 고SM이라고 부르며, 변신의 귀재이며 능수능란한 솜씨를 보이지만 다중자아의 기미와 바람기를 우려할 필요가 있다는 점은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또한 저SM은 본질과 일관성을 집요하게 추구한다는 점도 잘 새겨놓으면 응용할 부분이 많습니다.

전반적으로 말하면, 책은 쉽게 잘 읽힙니다.
아무래도 내 심리에 대한 이야기라서 그렇고, 일본식 용어투가 스며있긴 하지만 번역서가 아니고 저자가 직접 저술한 탓이 클겁니다. 중간중간 심리 테스트도 흥미롭고, 저는 아이들에게 몇개를 해보기도 했습니다.
사회성을 구성하는 나의 자아와 자존심을 해부한 내용이라 읽다보면 끄덕이며 수긍가는 부분이 많습니다.
반면, 이론적으로 서술했을뿐 느껴서 알던 부분가 많은 차이가 없어 머리를 죽비에 맞는듯한 깨달음은 없습니다. 또한, 알면 매우 재미있으나, 그 지식으로 당장 삶과 업무를 개선할 부분이 잘 보이지 않는 한계도 있습니다.


예컨대, 여자 친구에게 키스해도 되는 하는 타이밍 같은 부분은 매우 흥미로운 대목입니다만, 전 어차피 모르고도 결혼했으니, 술자리에서 후배들에게 아는 척 할 때나 써먹을까요.
핑계의 방법도 그렇습니다. 의도의 부정이나 자유의지의 부정, 당사자의 부정, 호소 등 기법이 있습니다만, 몰라도 본능적으로 잘들 하지요.


마찬가지로, self-consciousness의 경우도, 동양과 서양간의 차이가 클 듯 한데 일반론으로 마감하기 아쉬운 점이 보이기도 합니다.

처음의 사례로 다시 돌아가 보겠습니다.
스스로를 과대평가하고, 조금이라도 더 긍정적인 이미지를 연출하기 위한 지원자의 모습입니다. 이를 egocentric bias로 부르든, self-centered frame이라고 부르든, 것도 아이면 이 책처럼 self-presentation의 형태로 보든 큰 상관이 있으랴 생각이 듭니다. 학문적 구조하에서의 이름이 중요한게 아니라, 그런 심리적 기제가 있음을 이해하는게 중요하겠지요. 그로 인해 인간관계의 대원칙인 '상대의 자존심'을 챙겨주되, pitfall에 빠지지 않는 지혜가 생기니까요.

'Review'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공한 리더는 독서가다  (24) 2007.09.30
인적자원관리의 미래  (6) 2007.09.29
전략적 사고를 위한 미래예측  (10) 2007.09.22
프레임  (14) 2007.09.16
생각의 지도  (22) 2007.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