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uit Blogged

음식의 제국 본문

Review

음식의 제국

Inuit 2015. 6. 27. 09:30

Evan Fraser

꽤 방대한 책

그냥 음식의 역사를 다룬 정도라 예상했다. 하지만 그 보다 내공이 깊다. 인류 역사에서 음식의 의미를 짚어낸다. 음식이 동기가 되어 나라를 이루고 확장하고 멸망하는, 음식 스스로가 제국이란 관점에서 인류사를 재정리했다.
 
(Title) Empires of Food: Feast, famine, and rise and fall of civilizations

Food for survival
좀 사는 나라라면 음식 비용은 상대적으로 그리 크지 않다. 음식값이 두배가 된다해도 불편하고 짜증나지만, 큰 이슈는 아니다. 하지만 가난한 나라는 다르다. 음식값이 50%만 올라도 굶어죽는 사람이 생기고, 시간 지나면 폭동이 생긴다. 이게 바로 음식이 갖는 의미이자 정치학적 포인트이다.


Food for growth
인류가 수렵을 통해 생존하다 정주하여 농경하며 잉여 생산물이 나오게 된다. 이는 인류학적인 터닝 포인트다. 덕분에 문화, 제도, 국가가 생겼다. 그리고 탐욕도 생긴다. 더 많은 음식, 더 많은 자원을 향해 서로 침범하고 다투게 된다.


Food empire
최초의 음식 제국은 로마에서 찾을 수 있다. 수도 로마에서 스스로 식량을 자급자족하지 못하고 식민지에서 가져와야 제국이 돌아가는 시스템. 태평성대에는 효율적이지만, 문제가 생기면 제국자체가 붕괴되는 취약한 시스템이기도 하다. 이는 '강대국의 경제학'에서도 짚고 있는 요소다.


Still the empire
지금 사회도 그렇다. 잘 생산할 수 있는 것을 각자 생산해 열심히 각지로 나른다. 경제적 효익은 생기지만, 마찬가지 이유로 분배는 공정보다는 경제성이 결정한다. 여기는 음식으로 호사하는 동안 저기는 굶는 사람이 생긴다.


End of empire?
더 어려운 일은 로마와 마찬가지로 급속한 음식제국이 붕괴되는 취약성을 키워가고 있다는 점이다. 그게 병균에서 올지, 화석연료값에서 올지, 환경과 기후에서 올지는 모른다. 하지만 식품의 이동거리인 푸드마일이 길어지는 상황은 지구화한 음식제국의 단면이다.


내몸에 내음식
이 대목에서 신토불이는 다시 음미할 가치다. 동네에서 자란 음식을 그 동네에서 소비하는 것. 다소 비효율적일지는 몰라도 음식 공급망의 안정성은 매우 높아지게 된다. 모든 음식을 그렇게 할 수는 없겠지만, 주된 음식은 가능하고, 또 그래야 한다. 국수적 가치가 아닌, 상생의 이념이다.


질소
음식의 이동을 물질적으로 보면 질소의 이동이기도 하다. 땅의 비옥성은 질소에서 나오고 이 질소는 식물과 동물을 통해 이동한다. 이에 따라 음식, 인구, 국가, 권력의 이동이 항상 따랐다. 맬더스의 비관적 예측대로 인구의 성장은 식량의 성장을 앞섰다. 지구가 먹일 수 있는 인구는 30억이 최대다. 하지만, 화학비료가 나오면서 추가의 30억을 먹여살리게 되었다. 그리 보면 화학비료는 인류의 평화를 유지하게 만든 숨은 공신이다. 같은 제법으로 폭탄을 만들었다는 점이 아이러니컬하긴 하지만.


Inuit Points 
배불리 읽었다. 별점 넷이다. 음식을 문화로 보는 내겐, 시야를 넓히며 음식의 이면에 대해 새삼 배운 시간이었다. 예컨대, 로마인이 사랑한 올리브오일은, 100ml로 1000칼로리를 공급하고, 필수지방산과 비타민 A, E를 포함한다. 로마 서민은 하루 필요열량의 1/3을 여기서 섭취했고, 나머지는 액젓과 빵이다. 소박한 식사지만 하루 삶에 충분하고 팽창하는 제국을 지탱하는 기초자산이었다. 단순한 조미료가 아니다.


'Review'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타트업 바이블  (0) 2015.07.04
한국의 스타트업 부자들  (2) 2015.06.28
마음의 작동법  (2) 2015.06.21
강대국의 경제학  (2) 2015.06.20
기브 앤 테이크 (Give and take)  (4) 2015.0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