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uit Blogged
Quiet 본문
여러 책 읽다 보면 읽고난 후의 쓰임새가 각각 다르게 마련이다.
집짓는 일에 비유하자면, 어떤 책은 정원을 풍성하게 가꾸는 역할을 하고, 어떤 책은 인테리어를 아름답게 해주고, 어떤 책은 그냥 있으나 마나이거나 그 자체로 쓰레기이기도 하다.
그 중 어떤 책들은 골격을 만든다. 구멍난 벽을 메우거나, 지금의 벽을 튼튼하게 하기도 한다. 또는 한 층을 올리는 기둥과 들보가 되기도 한다.
근년 들어 기둥에 해당하는 책들은 내 책 '가장 듣고 싶은 한마디 YES'를 저술할 때 분석의 틀로 사용했던 구뇌(old brain) 관련한 내용이었다. 이성으로 직조된 고도로 복잡한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 인간들, 실상 마음 속 깊은 곳을 장악하고 있는 원시적 뇌의 탐욕과 공포라는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것은 인간에 대한 통찰의 핵심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2년이 더 지나 그에 상응하는 쓸만한 기둥을 만났다.
Susan Cain
'콰이어트(Quiet)'는 막연히 기질 같기도 하고 후천적 성향처럼도 느껴지는 외향성-내향성에 대해 명료한 해답을 준다. 성향 자체는 지니고 태어나는 선천성이고, 그 활용에는 후천적 유연성이 있다는게 핵심이다.
구뇌로 대변되는 공포반응에 비해서는 외연이 무척 작다고도 볼 수 있는 외향성-내향성 프레임이다. 하지만, 내게 있어서는 지금껏 지니고 있던 인간 체계에 대한 의문에 대한 온전한 해답을 주었기에 만족도가 높다.
예컨대 나를 보면, 외향성과 내향성이 공존하고 있다. 사교적이고 대중 앞에 나서는 일을 잘 해낼 뿐더러 좋아하기도 한다. 그러나, 또 혼자 만의 시간을 필요로 하고, 그 시간에 의미있는 연구물을 내놓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내 막연한 가설은 외향성-내향성은 환경에의 적응도(fitness to environment) 정도로 생각했다.
수잔 케인은 똑부러지게 답한다.
내향성-외향성은 이미 신생아 시절부터 각자에게 정해진 유전적 성향이라고. 실제로 저자 자체가 전형적 내향성 인물로 스스로에 대한 연구, 유사한 동료들에 대한 침잠을 거듭하다가 책의 주제를 구상하고 무려 7년에 걸친 방대한 인터뷰와 문헌 조사를 통해 의미있는 연구물을 내 놓게 되었다.
일단, 케인의 훌륭한 연구물을 제대로 음미하기 위해서는 흔히 말하는 외향성-내향성에 덧씌워진 사회적 함의부터 벗겨야 한다. 사실 저자가 이 주제를 연구하게 만든 원인이기도 한 그 지점은 미국사회의 (또는 고도 산업사회의) 지나친 외향성 편애다. 외향성은 좋은 것, 배워야 하는 것, 반면에 내향성은 극복해야할 어두움으로 틀지어 지는데서 수많은 비극이 생긴다. 하지만 미국 자체에도 이런 틀매김이 20세기 초반의 대량 마케팅 시대와 더불어 생겼을 뿐이다.
내향성-외향성에 대해, 중립적이자 과학적 기술(description)은 자극에의 민감성이다. 내향성이라 불리우는 사람들은 자극에 민감하여 일정 자극 수준으로 입력을 제한하려는 성향이 있다. 반면 외향성으로 분류되는 사람들은 외부자극에 둔감하여 더 많은 자극을 찾아나선다. 그래서 외향성 주도적인 사람은 행동 후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그리고 이 성향은 앞서 말했듯 유전적으로 각인되어 있다. 대개 1/3에서 반이 내향성 주도형이다.
중요한 점은, 내향-외향으로 틀짓기를 하면 이해가 안가는 인간의 본성이, 자극에의 수용성으로 보면 명료하게 이해가 된다는 점이다. 이 점에서 이 책은 나의 새로운 기둥이 되었다.
자극에의 수용성은 기질이지만, 스스로 통제하고 훈련하고 준비함에 따라 처리할 수 있는 자극의 용량이 달라지는 점이 중요하다. 왜냐면, 쉽게 말해 내향성 인간은 탁월한 사고형(great thinker)이고 외향성 인간은 기막힌 실행자(excellent executer)이므로 각각의 쓰임새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기질에 맞춰 스스로를 적극적으로 개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프레임은 HR, 리더십에서 필수적인 인간이해 요소다.
반 고흐, 엘리너 루스벨트, 앨 고어, 워런 버핏, 간디, 로자 파크스를 비롯해, 역사를 움직인 수많은 발명과 창의는 저자극 선호형 인간들에게서 나왔다. 아니 멀리 갈 것도 없다. 여러분 주위에도 조용히 세상을 바꾸고 조직을 한단계씩 업그레이드하는 혁신을 도안하는 그 사람들은 저자극 선호형이다.
그리고 그 계획의 구현은 자극 추구형, 흔히 말하는 외향성 인간들이 구현해 간다. 세상은 그렇게 음양의 조화처럼 신기하게 굴러간다.
이 책을 알고 있는 당신이 갖게 될 밝은 눈 하나는, 겉보기 말투나 행동으로 thinker와 doer를 구별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젠 그 속을 들여다 보는 자가 새로운 인간탐구 마스터가 되는 것이다.
'Review'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의 모든 것의 경제학 (2) | 2013.01.18 |
---|---|
천가지 이야기가 있는 나라, 인도네시아 (2) | 2013.01.12 |
내가 알고 있는걸 당신도 알게 된다면 (13) | 2012.12.30 |
사장이 알아야할 거의 모든 것 (0) | 2012.12.28 |
또라이 제로 조직 (2) | 2012.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