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심리학 (22)
Inuit Blogged

1️⃣ 한줄 평지구인과 평화롭게 살아가고 싶은 외계인이 만든, 인간 사용 설명서 (user manual) ♓ Inuit Points ★★★☆☆자폐 스펙트럼이 있는 소녀가 커서 이학 박사가 됩니다. 툭하면 멜트다운이 오는 스스로나, 주변 사람과 세상 모두 이해하기 힘들어 스스로를 외계인처럼 여겼다고 합니다. 그가 공부한 과학을 통해, 인간세상을 이해해 보려는 노력을 적은 글입니다. 일상을 평범으로 받아들이는 비장애인에게는 아주 신선한 시각이 많습니다. 저도 문득문득 깨닫는 지점이 많았습니다. 🎢 Stories Related 번역이 나쁘다는 이유로 평점이 안좋은 책입니다.11개 챕터에 과학 이론이 나옵니다. 물리, 화학, 생물, 정보학 등 다양합니다. 과학적 번역은 훌륭합니다.반면, 문과적 번역은 품질이..

MBTI 테스트할 때 종종 바뀌지 않나요? 심지어 E와 I도 왔다갔다 하는 사람이 종종 있어요. 학술적 근거도 없고 bi-modal 모형이 갖는 한계 때문에 그렇습니다. 그렇지만, MBTI는 영감을 불러일으키는 신비로움 때문에 매우 인기가 높은게 사실입니다. 반면 심리학에서 안정성과 일관성 면에서 학술적으로 인정을 받는 big 5 성격유형은 특히 우리나라에서 듣보잡 취급을 받기 일쑤입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다섯가지 성격유형의 이름부터 편향성이 있어 상상력이 개입할 여지가 적다고 봅니다. 최근 유전학 및 신경학의 결과를 덧입혀서 들여다 보면 빅 5의 파괴력은 배가된다는 점을 알았습니다. 빅5는 다섯 가지 인자를 말합니다. Openness(개방성), conscientiousness(성실성), extraver..

"내 눈은 앞을 볼 수 없지만, 그래도 나는 세상을 보기로 선택했다." 간결한 한 마디인데, 홀린듯 책을 읽어가게하는 첫 문장입니다. 저자는 갈수록 시력을 잃는 병에 걸려 실명했고, 여성이고, 이민자 시크교도 집안의 자식이라는 기구한 조건으로 태어납니다. 이후 스탠포드에서 공부하고 선택의 심리학에 관한 석학이 됩니다. 운명의 기구함이 저자를 채근했고 숙고하게 만든 주제는 바로 선택입니다. 무엇이 운명이고 무엇이 우연일까요. 그 와중에 선택은 어떤 역할을 할까요. (Title) The art of choosing 제일 처음 인상 깊었던건 선택의 문화적 맥락입니다. 개인주의와 집단주의에서 선택은 달리 작용합니다. 선택할 때 나 이외의 주변까지 고려하는 집단주의적 성향은 동양에서 많이 발현됩니다. 이건 우열이..
왜 그랬을까?얼마전 천재소녀 사건으로 잠시 떠들썩했는데, 다들 왜 그랬을까 쯧쯧 반응이 많았다. 마침 그 아버지가 내 고등, 대학교 동창인지라, 어떤 성품의 사람인지 아는 나로선 더 놀라운 일이었다. 마음의 길, 심리심리학적으로는 우리는 각자 같게 다르다. 모두 상황과 관계속에서 개별적 선택을 하므로 그 결과는 모두 다르다. 하지만 선택과 결정의 기저에는 같은 메커니즘이 존재한다. 인간을 집요하게 구성하는 DNA는 진화를 거치며 바탕을 이루기 때문이다. High Pressure자아관여 (ego involvement)란 말이 있다. 자기의 존재가치를 특정 결과와 결부시키는 현상이다. 결과는 내면의 동기 훼손, 압박감, 긴장감과 불안을 유발한다. 동창 정욱이의 딸은 아마도 이 자아관여가 컸을테다. 그리고 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