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uit Blogged
기브 앤 테이크 (Give and take) 본문
Adam Grant
The Taker
세상 사람은 양극으로 가를 수 있다. 아낌없이 주는 사람 the giver, 그리고 남김없이 뺏는 사람 the taker. 테이커는 범위가 넓다. 일상에서 신경 거스르는 얌체에서, 내 중요한 것을 집요하게 앗아가는 강탈자까지. 아마 잠깐 눈을 멈추고 기억을 떠올리면, 직장, 동창, 이웃 혹은 친척 집단중에서 바로 다섯은 떠오를게다.
The Giver
기버는 바보같다. 호그와트의 후플푸프(Hufflepuff)요, 다이버전트의 에브니게이션 같다. 착하고, 남의 아픔을 못견디고 내가 손해보더라도 남을 위한 헌신에서 즐거움을 찾는다. 책에서는 나의 input보다 전체의 output이 (+)면 내 개인적으로는 (-)라도 그 일을 하는 사람으로 정의한다.
기버는 호구
결국 기버는 테이커의 밥이다. 거절하기 힘든 기버를 마음껏 활용해 테이커는 하루를 쉽게 살고, 1년을 성공하고, 인생에서 앞서 간다. 기버는 슬프고, 힘들며, 지친다.
And the matcher
그래서 대다수는 매처가 된다. 채찍엔 채찍이고, 당근에 당근이다. 실제로 매처는 직업사회에서는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어쩌면 현대사회의 규범이다. 그런데 기억해보자. 이 글 읽는 사람들, 어렸을 때 기버 아니었던가? (테이커는 돈 안되는 내 글을 여기까지와서 읽고 있지 않을듯) 삶을 살며 매처가 되고 테이커로 변신을 하지는 않았는가? 기버로서의 삶은 녹록치 않고 관계에서 생기는 생채기가 딱지가 된다. 그래서 우리는 기버 마을을 떠나지는 않았을까. 뭐 삶이 각박해 적응을 위한 어쩔 수 없는 이주라면 그게 인생이고 그게 인류고 또 역사일게다.
대박은 기버
실제 조사를 해보면 '성공의 사다리' 가장 아래에 실제 기버가 있다. 늘 착취당하는 그 사람들이다. 사다리의 중간과 위는 매처다. 예상했겠지만 테이커는 더 위쪽에 있다. 그런데, 반전이 있다. 성공의 최정점에는 기버가 있다. 여기서 부조리는 시작된다. 기버로서 사는 것은 인생의 맨 밑으로 가거나 극히 드문 대성공을 거두는데, 적당히 테이커나 매처로 살면 되는걸까. 또는, 내 본성은 기버인데 매처로 각박하게 살면서, 혹시 스스로 불행하지는 않을까.
근대화에 쓸려간 Giving
여기서 한가지 생각할 부분이 있다. '진화론으로 본 종교 그리고 선지자'라는 포스팅에서 밝혔듯, 종교는 법이 존재하지 않은 상태에서 혈연집단의 크기를 넘어 인류가 협업하게 만든 기막힌 발명품이다. 심지어 정치체제가 나타난 이후에도 종족을 넘는 초집단의 결속과 조화를 이루게 하는 구심 이데올로기다.
맹자와 순자
전통 또한 마찬가지다. 겸손, 봉사, 두레 등 우리가 진부하다고 느끼는 전통과 의식(ritual)은 다 이유가 있다. 기버를 압살하지 않기 위해서다. 결국 성악설과 성선설은 기버로 태어나 매처와 테이커로 변하느냐, 테이커로 태어나 교육을 통해 매처과 기버로 개종하느냐의 접근방식이다. 난 경험상 성선설을 믿는다. 그리고 호모 사피엔스가 호모 에렉투스에서 분화되어 나온 이유가 기버의 DNA 때문이란 점을 망한 내 책에서 밝힌 바 있다.
유재석
당장 우리 곁 모델은 유재석 같다. 그를 직접 겪지 않았지만, 다양한 연예계 증언들이 유재석의 성공요인을 그의 유머재능보다 따뜻한 마음과 인성에 두고 있다. 미국에서도 최상위 성공인은 기버라고 한다.
문제는 미국이다
우리나라를 포함한 아시아, 그리고 라틴 문화권은 물론, 유럽조차도 테이커의 기회주의는 사회적으로 필터링이 된다. 그게 평판이고 사회적 관계망이다. 하지만 미국은 테이커를 규범화하는 문화다. 한국은 미국을 무섭게 쫓아가는 중이고. 그러나 미국조차도 초기는 달랐다. 산업화 이후 백년간 주로 이런 테이커=위너의 norm이 형성되었다. 수전 케인은 좀 다른 각도에서 이 문제를 다뤘지만, 같은 지점을 향하고 있다.
기버가 테이커를 만날때
결국 책은 기버로서의 삶을 놓치 않아도 된다는 점을 길게길게 주장하고 있다. 단, 기버에게 테이커 사용설명서가 필요하다. 기버가 테이커에게 고스란히 내주기만 해서는 기버의 삶이 어려워지니까.
Giver's golden rule
저자의 공식이다.
For Giver to deal with Taker = 2/3 Matcher + 1/3 Giver
즉, 2/3는 매처로서 행동하며 응징과 거절을 하되, 30%의 관용을 가져가는게 황금비율이라고 한다. 그 외에는 기버가 스스로를 타자화하여 돕는 선에서 균형을 찾으란 조언도 하지만 이 부분까지 가면 궁색해지기 시작한다.
Inuit Points ★★★★☆
책은 가치가 있다. 조금이라도 더 많은 기버를 세상에 퍼뜨릴 수 있다면 이 책은 정말 큰 일하고 있다. 나는 이렇게 메모를 했다.
"종교가 사라진 시대, 과학이 자리를 메우기 위한 장한 시도"
즐겁게 읽었고 별점은 넷을 줬다. 만점을 못받은 이유는 기버의 실천적 규범에서 용두사미가 되고 있다. 까놓고 말하면 나는 아직도 테이커를 어떻게 대해야 할지 책에서는 답을 못 배웠다. 당분간 매처로 스스로를 세뇌하는게 방법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