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뇌변연계3

[잉여부활 YES!] 인간은 한마리 정서적 도마뱀이다 1970년 폴 매클린(Paul MacLean)은 뇌의 삼위일체론 (triune brain theory)을 선보였다. 즉, 뇌는 진화적으로 파충류의 뇌 (reptilian brain), 선사포유류의 뇌 (paleomammalian brain), 신포유류의 뇌 (neomammalian brain)의 경로를 거쳤으며 세가지 유형은 구조적으로 현격히 다르나 긴밀한 연결을 갖는다는 주장이다. 이는 뇌과학 역사상 가장 매혹적인 이야기이기도 했다. 신경과학의 성과를 토대로 이처럼 포괄적이고 함축적이며 모든 이슈를 한번에 통합해서 명료하게 설명하기도 쉽지 않다. 3위일체 구조를 쉽게 구뇌, 중뇌, 신뇌라 부르기도 한다. 삼위일체 가설은 한발 더 나아가 각 부분에 역할을 부여한다. 즉, 생존의 구뇌, 감정의 중뇌, 사고.. 2009. 10. 21.
뇌과학으로 풀어보는 감정의 비밀 양심은 인간에 깃든 신성(神性)이다. -톨스토이 마음, 감정 더 나아가 양심과 영혼 등 형이상학적 상위 개념은 인간을 인간답게 합니다. 좋든 나쁘든 존재 자체가 인간의 증명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물질 수준으로 내려가면 궁금증이 많습니다. 우리의 감정은 어디에 있을까요? 흔히 말하듯 가슴에 있을까요. 사고를 담당하는 뇌에 있을까요. (원제) Chemie der Gefühle 거칠게 요약하면 호르몬에 관한 책입니다. 육체는 환경에 적응해야 하고, 호르몬은 파악된 환경에 맞는 육체적 상태로 감정을 매개하기 때문입니다. 먼저 감정의 발현 기제는 이렇습니다. 감정을 관장하는 뇌는 대뇌변연계입니다. 후각을 제외한 모든 감정은 시상으로 모입니다. 시상은 감각신호를 통제합니다. 긴급하지 않으면 대뇌피질을 경유해 정보.. 2008. 11. 22.
컬처 코드 짧지만 미국에는 두차례 거주했더랬습니다. 하지만 현지 사회 속에 섞여 사는 형태가 아닌지라 관찰자로서의 삶에 가까웠지요. 왜 미국에는 비만한 사람이 많을까? 왜 미국 실내는 이리도 춥지? 어째 그렇게 평생 기를 쓰고 돈을 버는지, 그리고 또 쉽게 기부를 해버리는지? 기술만 놓고 보면 별로 신통하지도 않은 블랙베리는 왜 그리 인기지? 퍽퍽한 땅콩버터는 왜 그리 각별한 애정이 있을까? 이런 생각을 할 때가 잠깐씩 있었고, 느닷없이 떠오른 만큼 또 그렇게 빨리 생각의 뒤편으로 물러갑니다. 하지만 이런 의문에 대한 그럴듯한 답이 있을지도 모를 일입니다. 원제: The culture code 부제: 세상과 모든 인간과 비즈니스를 여는 열쇠 이 책을 통해 위에 열거한 제 개인적 의문에 대한 답을 얻었습니다. 그 외.. 2007. 5.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