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uit Blogged
문제해결능력 본문
얼마전 뉴스에서 우리나라의 학생이 OECD 국가중 문제해결능력 1위, 읽기 2위, 수학 3위, 과학 4위로 핀란드에 이어 최상위권의 학습능력을 보였다는 소식이 나온 바 있다.
듣기에 좋은 소식이기는 한데 몇가지 의문이 생겼다.
다른 과목은 이해가 가는데 문제해결능력이 1위라고?
우리나라야 세계적으로 교육열이 높은 것으로 유명하고, 전세계 교육자가 질시와 비난이 뒤섞인 눈길로 주시하기도 한다는 이야기를 들은 바 있지만, 주로 단편적, 주입식 교육의 비중이 많은 것도 사실 아닌가.
또 한가지는, 과연 문제해결능력이란 것이 무엇인가?
사고가 났을때 문제를 해결해주는 능력을 의미하지는 않을 터인데.
특히, 비즈니스쪽에서는 일반적인 회사 업무가 다 문제해결이지만, 외국계 회사에서 종종 요구하는 problem solving capability는 문제도출 능력과 가설지향의 해결책을 포함하는 정형화된 프레임 웍을 말한다.
과연 우리 아이들이 어떤 문제를 그리 잘 풀었을까.
궁금하면 못참는 성미라, 잠시 인터넷을 뒤져봤더니 흥미로왔다.
이번 결과는 OECD 산하의 국제학생평가프로그램에서 체계적으로 조사한 것으로 웹(http://www.pisa.oecd.org/)에도 그 상세한 결과가 실려있다.
리포트를 검색해보니, PISA에서의 문제해결능력 역시 구조화된 문제 풀기 능력이었다.
즉, 문제를 이해하고, 유형화 하여 그림이나 수학적 툴로 표현한 후 문제를 푼 후, 답을 음미하여 그 결과를 다시 일상의 언어로 커뮤니케이션 하는 구조적 단계를 거치는 것이었다.
말이 좀 어렵지만, 예전에 수학에서 흔히 말하던 "응용문제"를 실생활 상황에 맞춰 다양한 분야를 결합하여 만든 문제인 것이다.
실제 문제를 보면, 우리아이들이 잘 할 수 밖에 없는 문제들이었다.
여러 제약조건 (친구 하나는 무슨 레슨을 받아야 하고, 누구는 몇시에 들어와야 하고..)하에서 영화 프로그램을 고르는 문제 같은 경우, 늘 삶속에서 풀어가는 문제이다.
그 외에 캠프에 사람 배정하는 문제나, 단순한 topology의 수로 시스템에 물대기라든지 딱 보기에도 별로 어려워보이지는 않는다.
평소에 소위 잔머리라고 하는 두뇌회전 훈련이 생활화 되어 있고, 한글이 쉬워 문맹률이 제로에 가까운데다가, 아동기부터 전국민이 교육하나에 매진하는 우리나라의 현실에서 크게 놀랄만한 결과는 아니라는 결론을 내렸다.
다만, 이러한 PISA 문제해결능력이 뛰어나다고 복잡다단한 문제를 잘 푼다고 볼 수는 없을듯했다.
직관적인 수준을 넘어 깊이 사고하고 다양한 원천을 통해 상상하며 과학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훈련과 학습이 필요하다는 것이 개인적인 생각이다.
그러고보니, 인생이란 계속해서 이어지는 문제를 풀어가는 과정일지도 모르겠다.
듣기에 좋은 소식이기는 한데 몇가지 의문이 생겼다.
다른 과목은 이해가 가는데 문제해결능력이 1위라고?
우리나라야 세계적으로 교육열이 높은 것으로 유명하고, 전세계 교육자가 질시와 비난이 뒤섞인 눈길로 주시하기도 한다는 이야기를 들은 바 있지만, 주로 단편적, 주입식 교육의 비중이 많은 것도 사실 아닌가.
또 한가지는, 과연 문제해결능력이란 것이 무엇인가?
사고가 났을때 문제를 해결해주는 능력을 의미하지는 않을 터인데.
특히, 비즈니스쪽에서는 일반적인 회사 업무가 다 문제해결이지만, 외국계 회사에서 종종 요구하는 problem solving capability는 문제도출 능력과 가설지향의 해결책을 포함하는 정형화된 프레임 웍을 말한다.
과연 우리 아이들이 어떤 문제를 그리 잘 풀었을까.
궁금하면 못참는 성미라, 잠시 인터넷을 뒤져봤더니 흥미로왔다.
이번 결과는 OECD 산하의 국제학생평가프로그램에서 체계적으로 조사한 것으로 웹(http://www.pisa.oecd.org/)에도 그 상세한 결과가 실려있다.
리포트를 검색해보니, PISA에서의 문제해결능력 역시 구조화된 문제 풀기 능력이었다.
즉, 문제를 이해하고, 유형화 하여 그림이나 수학적 툴로 표현한 후 문제를 푼 후, 답을 음미하여 그 결과를 다시 일상의 언어로 커뮤니케이션 하는 구조적 단계를 거치는 것이었다.
말이 좀 어렵지만, 예전에 수학에서 흔히 말하던 "응용문제"를 실생활 상황에 맞춰 다양한 분야를 결합하여 만든 문제인 것이다.
실제 문제를 보면, 우리아이들이 잘 할 수 밖에 없는 문제들이었다.
여러 제약조건 (친구 하나는 무슨 레슨을 받아야 하고, 누구는 몇시에 들어와야 하고..)하에서 영화 프로그램을 고르는 문제 같은 경우, 늘 삶속에서 풀어가는 문제이다.
그 외에 캠프에 사람 배정하는 문제나, 단순한 topology의 수로 시스템에 물대기라든지 딱 보기에도 별로 어려워보이지는 않는다.
평소에 소위 잔머리라고 하는 두뇌회전 훈련이 생활화 되어 있고, 한글이 쉬워 문맹률이 제로에 가까운데다가, 아동기부터 전국민이 교육하나에 매진하는 우리나라의 현실에서 크게 놀랄만한 결과는 아니라는 결론을 내렸다.
다만, 이러한 PISA 문제해결능력이 뛰어나다고 복잡다단한 문제를 잘 푼다고 볼 수는 없을듯했다.
직관적인 수준을 넘어 깊이 사고하고 다양한 원천을 통해 상상하며 과학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훈련과 학습이 필요하다는 것이 개인적인 생각이다.
그러고보니, 인생이란 계속해서 이어지는 문제를 풀어가는 과정일지도 모르겠다.
'Biz'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 해킹을 아십니까? (7) | 2004.12.23 |
---|---|
중국에서 새롭게 부상하고 있는 신종 직업 (10) | 2004.12.17 |
Aura가 필요해 (5) | 2004.12.07 |
시장 지향의 Biz (3) | 2004.12.03 |
어떤 인맥 공유 사업모델을 보고.. (4) | 2004.1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