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uit Blogged

Portugal 2018: 1. Portugal is not Spain 본문

Travel

Portugal 2018: 1. Portugal is not Spain

Inuit 2018. 1. 31. 16:44

여행에 있어 계획은, 사전 정보의 정리본일 뿐이다

 

자유여행으로 수년간 가족여행을 하며 배운 점입니다. 장소와 시간까지 철저히 계획해봤자, 현지 가면 모든게 달라집니다. 그날 가족의 체력, 입맛, 날씨, 갖가지 돌발상황으로 계획이 어긋나기 일쑤지요. 특히 동선 짜서 한붓에 여행지와 봐둔 식당 들른다는 계획따윈 2~3년차에 관뒀습니다. 생각한 동선대로 딱 그시간에 배고파 그 식당에서 식사할 확률은 희박하니까요.

 

그럼에도 포르투갈의 첫날, 신트라에 가리라고는 생각을 안했습니다


포르투갈 겨울 날씨는 한국보다 온화합니다. 여행 2주부터 모니터링 해보니 7도에서 17 사이에서 움직이네요. 늦가을 날씨 정도로 생각하고 준비했습니다. 리스본이 유럽 부자들 겨울 휴양지로도 자주 활용되는 곳이란 점도 참고했고요.

 

그런데, 리스본 관련 글들을 여럿  보니 느낌이 합니다. 대서양에 인접한 리스본과 포르투의 겨울은 그리 상냥하지 않은듯 합니다. 바다에 면한 탓인지, 습해서 체감은 춥고, 기후상으로도 연중 가장 비가 많이 내리는 시기가 겨울이라합니다.


해가 변수다

 

그래서 가급적 좋은 예쁜 곳을 가기로 방침을 정했습니다. 그리고 첫날이 햇살 매우 좋은 날로 예보되니 생각했던 여행 순서를 완전히 바꿔, 교외의 신트라(Sintra) 가기로 했습니다. 우리로 치면, 서울 도착해서 바로 기차타고 경주 놀러간 셈입니다. 왜냐면 신트라는 딸램이 매우 기대를 하는 곳이었기 때문에 가장 좋은 가고 싶었습니다.

 

우리 숙소가 시내 한복판이라 잠깐 걸어 호시우역에 갔습니다. 신트라 패스가 있어 당일 여행에 최적입니다. 리스본에서 신트라까지 가는 교외 기차와 신트라 지역 모든 버스가 당일 무제한입니다.

 

포르투갈은 스페인이 아니다 

신트라 가는 기차에서 메모한 내용입니다. 제가 오해했듯, 흔히 포르투갈은 스페인 문화의 부분집합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지요. 언어도 유사하고, 떼어내면 지도에서 이가 빠져 보일 정도로 나라 같습니다. 하지만 정치적 역학관계로만 보면 우리나라가 일본의 부분집합이라고 보는 정도로, 심각한 오독이란 점을 포르투갈 역사를 읽으며 깨달았습니다.

 

부르고뉴에서 젊은 기사가 이베리아 왕국을 도와주고나서 공주와 결혼해 한명은 스페인, 한명은 포르투갈의 왕조를 것조차 출발선의 유사성이지 혈연적 연관성은 아닌거죠. 물론 60 정도 스페인의 지배를 받은 시기도 있지만, 바로 독립했습니다. 역사에 걸쳐 포르투갈은 대국 스페인이 병합하는게 매우 심각한 위협이었을 정도로 독립 상태를 내내 유지했고, 스페인 여러 왕국중 그냥 이탈한 나라는 아니란 점입니다. 같은 맥락으로 (까딸란 사람들은 그렇게 생각안함을 전제하고) 까딸루냐는 스페인의 부분집합으로서 마드리드 정권이 철저히 억압하고 통제를 해온거고요. 심지어 포르투갈 독립도 까딸루냐 반란을 막는 혼란의 와중을 틈탔을 정도입니다. 까스띠야 정권은 포르투갈은 욕심 내지 말고 까딸루냐만 확실히 때려잡자고 결정했었지요.

 

아무튼, 신트라 가는 와중에 메모를 한건, 이런 역사를 상기해서 쓴게 아니고 그냥 눈에 보이는 대로 적은겁니다. 풍경과 정서가 사뭇 달랐습니다. 지중해의 살랑이는 바람. 쨍하고 따끈한 햇살, 와글와글 웃음과 수다가 폭발하는 사람들 같은 스페인의 보들보들함과 차이가 컸습니다. 뭔가 풀먹인 옷감 같은 서늘한 느낌. 그러나 살에 닿으면 이내 따스해지는 느낌이 첫째 차이면, 펼쳐지는 풍광은 그냥 달랐습니다. 물론 까스띠야와 까딸루냐 지방만, 그것도 잠깐 정도로 온전한 비교는 아니지만, 단박에 말할 있을 정도로 분위기가 달랐습니다. 포르투갈은 포르투갈 자체로 읽어야 그나마 맛을 조금 느낄 있습니다. 여행 마친 지금은 대서양 정서와 지중해 정서의 차이로 이해합니다.


 


신트라역에서 버스를 타고 무어인의 (Castelo dos Mouros) 갔습니다. 무어인은 스페인과 포르투갈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하지요. 지중해의 입을 다무는 지르롤터 해협 같은 경우 대륙간 거리가 10km 조금 넘습니다. 아프리카에서는 이베리아가 지척이지요. 로마와 맞짱 카르타고의 사례처럼, 중세 이전의 북아프리카는 문화적으로 군사적으로 매우 강했습니다. 심지어 사막화도 진행되기 전이라고 하니말입니다.

 

따라서 로마가 떠난 이베리아 반도는 쉽사리 아프리카 세력의 손에 넘어갔습니다. 그들을 바로 무어인이라 부르죠. 스페인이란 나라는 무어인을 쫓은 대찬 기독교 커플, 이사벨과 페르난도 이후에 역사가 비로소 시작되었지요. 포르투갈은 스페인보다 이백여년 일찍 무어인을 몰아냈습니다. 스페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고 변방이라 가능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아무튼 무어인이라고 오랑캐처럼 부르는 사람들은 실은 학문이나 문화적으로 우월한 사람들이었고 오랜 지배를 받은 탓에 이베리아 전역은 영향이 물씬 배어 있습니다. 문화적으로 풍성하고 미학적으로도 탁월하고요. 스페인 쪽은 예전에 이야기 많이 했는데, 포르투갈도 마찬가지입니다. 파두 같은 음악이나 알가르베, 알파마 지명에 흔적이 많이 남아있고, 리스본의 모우라 언덕을 비롯해 지금 가는 무어인의 성도 그런 역사의 편린이지요.

 




신트라 역에서 버스를 타고 도착한 무어인의 성은 신비롭습니다. 기상예보에도 날이 좋다고 나왔고 아래는 해가 쨍쨍한데, 성에 접어 들자마자 안개에 감싸이고 빗방울도 수시로 후두둑거립니다. (과학적으로보면 산에 구름이 걸려 비로 변하는 국지적 현상입니다만 낭만적이지 않으니 패스)

 

여기도 우리나라 성곽처럼 성벽을 따라 걸을 있습니다. 실제로 걷다보면 많은 생각이 듭니다. 지금까지 골조가 남아있을 정도로 단단하단 , 가파른 경사의 정상에 있어 공략이 여간 어려운게 아니었을거란 생각, 공성전에 얼마나 많은 사람이 희생되었을까, 생각하는 와중에 펼쳐지는 아래마을의 안온한 미감이란. 잠시 들르 객의 마음을 싱숭생숭하게 하고. 전쟁에 장수의 목을 효수하듯 관광객을 위해 달아놓은 아랍어 국기의 처연함이 이슬비 아래서 그리 도드라지게 이쁜건지.

 


한참을 성에서 놀고 싶지만 신트라를 하루에 떼어야 하는 급한 마음에 다음 목적지로 갔습니다.


여행 이야기 full story 여기를 클릭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