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상관관계 (2)
Inuit Blogged
(Title) Big data: A revolution that will transform how we live, work and think '빅데이터는 이 책으로 완성이다.' TRIZ에서도 보듯, 난 한 주제를 공부할 때 관련된 책을 여러권 집중적으로 읽는다. 대개 내게 생소한 분야니까 시행착오도 있지만 여러권 읽다보면 분명 내가 원하는 줄거리와 통찰을 찾게 마련이다. 빅데이터 관련한 두번째 책인데, 이 책을 1/3 정도 읽었을 때 그런 확신이 들었다.'빅데이터 개념 잡기에는 이만한 통찰과 퀄리티가 없겠군.''나머지 책은 각주다.' 어찌보면 먼저 읽은 책의 대비효과일수도 있겠다.그러나, 이 책은 최소한 내 입맛에 꼭 맞췄다.빅데이터의 함의와 비전 같은 큰 그림을 원했기에. 제일 먼저 이 책의 매력을 느..
경제학의 진정한 가치가, 그 이름과는 달리 큰 돈을 벌거나 최소한 돈을 아끼는데 기여하지 않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실제로 주변의 여러 이코노미스트들을 보면 선비와 같은 느낌이 많이 난다. 부유하다기 보다는 삶에 대한 통찰을 통해 잘못을 보고 일갈할 수 있는 능력이 더 돋보이는..이 책은 경제학이라는 툴이 제공할 수 있는 분석이 어디까지 갈 수 있는지를 뽐내는 듯하다. 인과관계와 상관관계만 해도 그렇다. 90년대 미국의 범죄율 급감의 원인에 대해, 경제성장설, 경찰업무 혁신설 등 무수한 가설이 난무했지만 설명력이 미흡한 것을, 저자인 레빗은 먼 옛날 73년 낙태금지법의 완화로 인한 사회적 효과임을 데이터로 밝혀낸다. (블루오션에도 나왔던 빌 브래튼 뉴욕 경찰청장의 경찰업무 혁신은 적절한 타이밍에 우연히 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