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uit Blogged

불황을 넘어서 본문

Review

불황을 넘어서

Inuit 2010. 12. 26. 21:00

Alvin Toffler &

(Title) Beyond Depression: Yesterday, today, and tomorrow

Season for futuristics
연말연시에 미래학 책이 유독 땡기는 이유는, 이 때가 연중 삶의 지평과 시야를 가장 넓게 가져가는 탓일겝니다. 지난 1년을 돌아보고 앞으로 1년의 주요 방향과 개발할 분야 등을 고려하기에 좋은 자극이니 말입니다.

그런면에서 토플러 선생의 책을 선택한건 지극히 자연스러운 일이었습니다. 특히 근년간 벌어진 세계적 금융위기의 구조를 보며 해법을 논한다는 취지에 홀리듯 책을 샀지요.

Zombie Prophecy
하지만, 이 책은 다소간 실망이었습니다. 내용이 딱히 틀리거나 공감가지 않아서 그렇지는 않습니다. 굳이 이유라면 1975년도 자신의 책을 윤색해서 재간했다는 점이지요. 책 쓴 동기부터 그럿습니다. 자신도 잊고 있었던 1975년 책에 이미 지금의 위기를 너무도 잘 묘사해놨다는 독자의 제보를 받은데서 출발하니 말입니다. 
물론 상당히 많은 내용을 요즘 시대에 맞춰 다시 쓴걸로 보이기는 합니다. 하지만, 이미 훌륭한 고전에 덕지덕지 덧칠한 점은 마음에 들지 않습니다. 러셀이 백년을 앞서 지금 시대를 관찰한 경우, 그 뛰어난 통찰력에 찬사를 보내지 디테일한 시대착오에 촛점을 맞추지는 않습니다. 토플러 선생도 1975년 책에서 상당한 부분 지금의 위기를 잘 짚었던듯 한데, 그걸 굳이 리메이크하다보니 너저분합니다. 특히 시점의 혼란이 몰입을 방해하는데, 지금 현상에 대한 서술이 1975년에 예언한 건지 2009년에 사후관찰한건지 자꾸 따져보게 됩니다.

Sources of crisis
책의 형식적 요건에 대한 불만은 접고, 책 이야기를 하지요. 토플러 선생이 보는 위기의 본질은 무엇일까요. 제3의 물결로 일컬어지는 지식의 중요성에 가장 먼저 주목한 미래학자 토플러답게, 지식사회의 특성은 물론 사회의 변화동인을 면밀히 잘 관찰하여 맥을 짚어냅니다. 
결국, 두가지 핵심주장이지요. 기존의 경제학으로 현대 사회를 설명할 수 없다는 점, 그리고 과거의 위기를 그대로 답습하지 않고 새로운 형태의 위기를 맞이한다는 점입니다. 이에 대처하기 위해서 미래주의(futurism)를 강조합니다. 즉, 경제적 측면 뿐 아니라 문화와 사회역학을 고려한 총체적 모습을 이해하고 그에 따른 해법을 마련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이건 유로달러로 대변되는 자본의 초국적 이동과, 지식의 중요도로 자산의 무형과 유형성이 상호 변이하는 특징을 고려하면 단순한 경제학 뿐 아니라 심리학, 사회학, 정보기술학 등이 총망라된 이해가 뒷받침 되어야 문제를 풀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Solutions
하지만 그게 그리 쉬울까요. 어쩌면 다가올 위기의 본질은 여기에 있다고 보입니다. 즉, 다음 위기 또는 불황은 전 지구적인 규모와 짧지 않은 시간에 걸칠 파괴적 수준임을 분명히 알지만, 어느 개별 주체가 능동적으로 대비하기는 불가능에 가깝다든 점입니다.

토플러 선생의 대안도 설득력 있지만 무력한 구호성입니다. 그래도 의미가 깊어 몇몇 눈에 띄는 부분을 봅니다.
  • 민주주의를 무력화하고 자본의 불안정성을 극대화하는 다국적 기업을 규제하기 위한 초국적 규제 기구를 신설해야 한다.
  • 식량/자원의 안전한 공급을 위해 국제적 비축시스템을 창설한다.
  • 각국의 고용창출은 노동집약적인 서비스 산업 위주로 전개한다.
  • 정책의 개발은 미래상황을 장기적으로 고려하는 것을 의무화하여 선제적으로 펼친다.
하나하나가 깊은 사색의 결과이며 의미있는 통찰입니다. 하지만, 고양이 목에 방울달면 된다는 해법까지는 알아냈는데, 누가 방울을 달 수 있을까요. 고양이는 얌전히 방울달 때까지 기다려 줄까요. 토플러 선생은 암울한 소리를 하고 싶지 않다고 잘라 말합니다만, 해법의 다중주체성과 복잡성을 고려하면 구현이 쉽지 않아보입니다. 

하지만, 인류는 위기 때마다 지혜를 발휘해 고비를 넘겨온 역사가 있습니다. 다만, 아픔이 심하기 전에 협력과 논의가 진행되길 바라는 마음입니다. 형제같은 남북사이에서도 대포 들이대고 총질하는 장면을 보면 다시 또 요원함을 떠올리지만 말입니다.

'Review'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럽 맛보기  (4) 2011.01.05
신과 다윈의 시대  (11) 2010.12.29
아쉬운 안드로이드 폰  (31) 2010.12.22
야만인을 기다리며  (4) 2010.12.08
독일: Curious Series  (2) 2010.1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