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uit Blogged

내가 고양이를 데리고 노는 것일까, 고양이가 나를 데리고 노는 것일까? 본문

Review

내가 고양이를 데리고 노는 것일까, 고양이가 나를 데리고 노는 것일까?

Inuit 2013. 4. 20. 10:00

Saul Frampton

(Title) When I am playing with my cat, how do I know that she is not playing with me?


정말 매력적인 책이다.

에세, 또는 수상록으로 유명한 몽테뉴지만, 딱 그 지점까지다. 
중고등시절, 필독 목록에 있었고, 한두장 들췄는지 좀 읽었는지 기억도 안나므로 내겐 안 읽은 책이니까.
뭔 바람이 불었는지, 몽테뉴를 재포장한 이 책을 집어 들었는데, 어느 순간 이후에는 그만 홀딱 매료되어 읽었다.

그 매력의 근원은 진솔함이다.
솔직함이 힘이고, 개인적 스토리가 주는 위대한 교감이다.
키가 작다는 컴플렉스, 여성에 대한 개인적 선호도는 물론, 먹고 마시고 냄새 맡는 모든 일, 심지어 배변과 지병인 요로 결석에 대해서도 가식없이 걱정과 생각을 적어 간다.
그 개인적 이야기를 들으면서 그냥 역사책 속 한 귀퉁이를 차지하는 명사라는 생각을 건너, 먼 친척 아저씨의 소싯적 이야기를 듣듯 친근감과 애정을 느끼게 된다. 정말 개인화 스토리텔링의 진정한 힘을 보여준 몽테뉴다.

물론, 개인적 잡문이 솔직하면 곧바로 위대한 문학이 되는 것은 아니다.
진솔함이 몽테뉴의 레시피라면, 특별 재료는 몽테뉴의 사유다.
몽테뉴 사유체계의 핵심은 자유분방함이다.
그리고, 그 자유분방한 사고의 줄기는 인본주의다.

어려서 우리아들 독서교육의 모태가 된 유럽식 귀족교육을 받았던 몽테뉴는 성장기와 중년 이전까지 마음의 상처가 많은 사람이었다. 그로 인해, 그리스의 스토아 주의와 종교 내에서의 안정감이 강하게 깃들어 있었고 여기까지는 동시대 귀족들과 별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종교전쟁과 전염병으로 인한 마을사람들의 몰살, 그리고 낙마로 인한 사경을 경험한 이후 몽테뉴는 각성하게 된다.
즉, 금욕적 스토아주의 또는 데카르트적 이성본위의 이상론의 틀을 깨고, 인간 본연과 관계 중심의 새로운 사고를 하게 된다. 이는 동시대 르네상스적 분위기와도 상통했고, 결과적으로 몽테뉴가 프랑스의 초기 르네상스를 연 사상적 토대를 제공하게 된다.

책의 제목 또한 여기서 유래한다. 
결과적으로 문화적 상대주의를 표방한 몽테뉴는 당시 야만으로 표현되던 남미나 제3세계 원주민도 동등한 관점으로 다뤘다.
이를 넘어 동물까지 사고를 확장한 결과가 제목의 사유다.
고양이가 나를 데리고 놀아주지 말란 법은 없잖은가.
지금봐서는 그냥 재미난 말장난이나, 또는 있을 수 있는 시각이지만, 당시 인간과 동물의 자리매김 상 이런 발상은 감히 꺼내어 말하기 어려운 관점의 전환이었다.

여기서 더 나가면, 당시 왕정과 종교 사회가 억압하고 규정해 놓은 다양한 사고적 틀에서 벗어난 논의가 가능하다.
성(性)과 인간관계, 종교에 대한 태도, 다문화에 대한 개방성, 죽음에 대한 수용성까지.
일례로 몽테뉴는 종교를 절대적 신성으로 보지 않고 사회적 관계망의 연장선상으로 보기도 했다.
이는 당시로서는 죽음을 내포한 반역의 사유였다.
중요한 점은, 지금 우리가 쉽게 받아들이고 당연히 여기는 많은 가치와 사상이 당시에는 발칙하거나 위험한 논의였다는 사실이고, 몽선생은 에세란 형식을 빌어 이를 공론화했다는 점이다.

이렇게 쓰다보니 복잡한 이야기가 많을듯 하지만, 책은 클래식 음악을 듣듯 우아하고 부드럽게 흘러간다.
이 부분은 저자 프램튼 씨의 공이다.
원문을 적절히 응용하되, 필요한 부분을 뒤섞어 몽테뉴의 삶을 독자가 함께 여행하도록 도와주는 가이드 역할을 충분히 한다.
없는듯 개입하지 않되 잘 설계된 길을 따라 흥미진진한 투어를 하고, 여객의 배경지식이 모자랄만한 부분에 슬쩍 나타나 설명을 해주고 뒤로 빠지는 프로 가이드다.

마지막으로 내가 이 책을 읽으며 즐거웠던 부분은 디테일일 살아 있다는 부분이다.
그냥 추상적 주장이나, 요약에서 절대 느낄 수 없는 풍성한 디테일은 에세나 수기, 일기류가 갖는 독특한 매력이다.
뭘 먹었는지, 무슨 냄새가 났는지, 어떤 대화를 나눴고 누구를 만나 어디를 갔는지 시시콜콜 적었던 몽테뉴는 트위터적 부지런함을 지녔다.
그리고 그 디테일을 읽으며 지금은 죽었다 깨어나도 이해 못할 중세 유럽의 정서를 절절히 느낄 수 있다는 점이 감동이었다.

지금은 쉬운 해외여행이지만, 당시 프랑스에서는 이탈리아까지 2년을 잡고 다닌 여행이다. 규모의 방대함과 비용, 시간 그리고 목숨의 위험 정도에서 지금과 견주기가 어렵다. 예컨대 중세 저자가 여행은 정말 도움이 되는 일이라해서 요즘 독자가 그 텍스트를 수긍한다고 치자. 그것을 지리적 이동이란 관점에서 지금의 컨텍스트와 같이 해석한다면 얼마나 많은 의미를 유실할까. 
마찬가지로 이탈리아 여행 중 와인에 물을 섞지 않고 마시는 법을 배운 몽테뉴를 보고 나는 깜짝 놀랐다. 대체 로마식 물탄 와인이 16세기 프랑스 귀족 문화까지 이어져 왔었단 말인가.

아참, 흔히 몽테뉴라고 부르는 이 인물의 이름은 미셸 뒤켐 드 몽테뉴다. 
즉 몽테뉴 성의 뒤켐 가 자손 미셸 씨다.
마치 상산에서 온 조자룡에게 상산을 호처럼 쓰는 것도 모자라 상산이라 부르는 것과도 유사하다.
하지만 몽테뉴 성이 그 가문을 뜻하고, 또 그 가문에서 유일하게 세계적 명성을 얻은 미셸이니 뭐 꼭 잘못되었다고 말하기도 어렵다.

어쨌든 부르주 몽테뉴에 살던 미셸 씨의 솔직담백하며 발랄한 사고는 그 후 프랑스와 유럽에도 큰 영향을 줬지만, 인간 몽테뉴 미셸의 향기가 시간과 공간을 넘어 키보드로 블로그 적는 Inuit씨에게도 감명을 준다는 점이 재미있다.

또 하나 생각해 본다. 지금 내가, 또 우리가 시시콜콜 남긴 기록들이, 먼 훗날 시공간을 지나 지적 충격과 감성적 공명을 일으킬 수 있을까?


'Review'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의성의 또 다른 이름 TRIZ  (2) 2013.05.18
세상 모든 CEO가 묻고 싶은 질문들  (0) 2013.04.27
자살을 할까, 커피나 한잔 할까?  (2) 2013.04.13
사회적 원자  (2) 2013.04.06
딸과 함께 떠나는 건축여행  (2) 2013.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