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2019 (20)
Inuit Blogged
비즈니스 스쿨을 졸업했고, 경영을 업으로 해 왔지만 저는 이과 출신입니다. 과학하는 태도가 정신을 구성하고 있습니다. 자연스레 반과학은 눈살이 찌푸려지고, 비과학은 재미로 봅니다. 비과학 중 존재 의미를 인정하는건 종교이고, 그 쓰임새와 효과를 수긍하는 측면입니다. 좀더 엄밀히 들어가면 현대 지식인의 점성술인 MBTI도 비과학입니다. 혈액형 점을 재미로 보는건 그럴 수 있는데 진짜로 믿는 사람을 보면 당황스럽듯, ENFJ같은 MBTI를 남에게 알려주면 자기 DNA 코드를 공개하는 듯한 위험하다고 말하는 사람을 보면 갑갑하게 느껴집니다. 그럼에도 이 책을 읽어보았습니다. 주역에 관한 내용입니다. 수천년 유구하게 이어지는 인습이라면 무언가 이유는 있겠지하고 궁금했던게 한가지라면, 제목이 뭔가 합리적으로 느껴..
연말 연초면 집중적으로 나오는 책들이 있습니다. 전망과 트렌드 류지요. 자극이 부족하다 싶으면 대전망과 핫 트렌드처럼 장식이 붙기도 하고요. 저도 의례처럼 연말마다 몇권씩은 보다가 요즘엔 이코노미스트 정도 보고 트렌드 책은 건너 뛰는 편입니다. 그런데, 요즘 밀레니얼이니 Z세대니 말은 많은데 구분도 가물가물하고 두 집단이 뭐가 다를까 싶던 차에 이 부분에 대해 잘 짚고 있다고 해서 이 책을 읽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목적을 달성했습니다. 밀레니얼과 Z세대가 어떤 인류인지 좀 느끼게 되었으니까요. 큰 틀에서는 유사합니다만, 세대가 구분되는 기점은 나라마다 조금씩 다르다고 합니다. 시민들이 겪는 집단심리적 이벤트가 영향을 미쳐 몇 년 정도는 어긋납니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이렇게 나뉜다고 합니다. 한국의 세대 ..
하루하루 살아가는게 바쁘고 힘들지만, 문득 그런 생각이 들 때가 있지 않나요? 지금 세상은 어떻게 돌아가는 걸까. 문제는 없는걸까? 우리나라는 비교적 치안이 좋고, 흡족하진 않더라도 지속적으로 경제가 성장하는 나라입니다. 그럼에도 미래, 아니 당장 반년 후가 불확실하고 슬몃 걱정이 드는 것도 사실입니다. 반면, 홍콩과 칠레, 볼리비아 등에선 격렬한 반정부 시위가 있고, 중동은 아직도 총성이 멈추지 않았고, 아프리카는 전쟁과 질병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유럽은 저성장에서 벗어나려 안간힘을 쓰고 있는 와중에 영국은 유럽과 이혼하네 마네 어지러이 왔다갔다하고, 미국은 MAGA 대통령 이후 파퓰리즘과 양극화의 첨예한 대립으로 혼란스럽습니다. 과연 지구는 잘 있는건가요. 흔히 '석학'이라는 8인의 지식인..
제 첫 직장은 대전의 연구소였습니다. 현장을 알아야 한다는 '그룹'의 방침에 따라, 전 연구원은 의무적으로 6개월 공장에서 근무해야 했습니다. 창원의 방산 공장에 배치됐고, 라인에 들어가 일을 하며 작업자 형들과도 친해졌습니다. 담배를 피우며 간간히 듣던 이야기 중 당시 느낌으로는 아라비안 나이트 같은 이야기도 있습니다. 창원에서조차 '아프리카 정도의 오지'로 치는 거제에는 '돈이 넘치는데 쓸 곳은 없어 술집이 발달했고, 러시아 아가씨들도 와 있는데 그리 이쁘다카더라.'는 이야기지요. 당시 저는, 현실성 없어 보이는 이야기지만 반대로 굳이 화자가 거짓말을 할리도 없고, 실제 (북방정책을 펼치기 전이라 우리나라에 별로 없던) 러시아 미녀가 있건 없건 그저 바그다드 쯤 이야기처럼 느껴졌었지요. 그 별세계 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