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uit Blogged

Portugal 2018: 20. The port awakens 본문

Travel

Portugal 2018: 20. The port awakens

Inuit 2018. 2. 16. 08:30

한참 걷다 화장실도 가고 싶고 목도 말라 광장 카페에 자리를 잡습니다. 유럽 어느 광장에 있어도 행복도가 +5 상승하는데요. 광장의 매력 같습니다.

 

탁 트여 사람이 모이고 만나고 다시 흩어지는 전통의 플랫폼. 플랫폼이 그렇듯 광장은 사람을 유인하는 요소가 있지요. 랜드마크 건물이거나 분수, 동상, 탑 같은. 어트랙션의 나머지를 채우는건 사용자입니다. 날은 지독히 못부르는 가수가 저 편에서 노래를 합니다. 그래도 너무 멀어 소리가 가물거리니 나쁘지 않습니다.

 


카페에서 바람을 쐬며 상그리아를 마시니 올라간 체온도 식고 팍팍해진 다리도 쉬어서 좋습니다. 카페 주인같은 여성은 영어를 잘하는데 일하시는 할머니는 영어를 못하십니다. 그럼에도 화장실에 가려고 하니까 몸짓으로 위치 알려주시고 남녀 공용이라 누가 있는지 먼저 가서 보고, '와도 돼 ^^' 손을 흔드시는 모습이 정겹습니다.

 

앞에서 포르투갈 왕들을 좀 비판적으로 말했지만, 거리에서 만나는 포르투갈 사람들은 평균적으로 꽤 좋습니다. 스페인 사람들이 왁자지껄 활달한 친근함이라면 포르투갈은 우리나라 시골 같은 뭉근한 친밀감입니다.  그냥 보면 무뚝뚝한데  대화가 시작되면 배려심과 친근감이 느껴집니다. 물론 말투는 까스띠야의 하이노트를 기대하면 안됩니다. 나른한 웅얼거림에 가까운 억양입니다.

 

하나 포르투갈 사람들을 좋아하는 이유는 상대적으로 인종에 대해 시야가 열려있다는 점입니다. 흑인부터 인디오와 백인이 화목하게 공존하는 브라질처럼 포르투갈, 최소한 리스본은 다인종 도시로 수세기를 지내왔습니다.

 

중세 노예무역을 선도한게 포르투갈입니다. 식민지에서는 노예를 부렸기도 합니다. 그러다 식민지에서 낳은 곁가지 아이들이 환국하고, 식민지 경영을 위해 해외에 내보내는 인력이 많아 인력난을 겪다 보니 일찍부터 다인종이 되었습니다. 게다가 아랍과 아프리카는 가깝고, 무역항으로 교통하는 수많은 나라 사람도 있었고요. 더 멀리 거슬러가면 무슬림 축출후 개종한 아랍인도 그대로 남아 살고 있습니다. 아참, 스페인의 사주로 유대인을 축출하고 개종한 유대인도 남아 있었고요. 이 모든게 17세기에 이뤄진 일입니다.

 

이때 풋내기 항해자는 리스본에 와서 깜짝 놀랐다고 합니다. "여긴 그야말로 국제도시야"라는 기록 이 많습니다.

 

포르투갈이 선구적 노예무역상으로 돈도 제법 벌었지만, 노예제도 철폐도 빠른 편에 속합니다. 본국의 노예 금지는 대지진 이후인 18세기 후반, 노예 무역의 금지는 19세기 초반입니다. 이런 역사는 모른다쳐도, 여행자의 예민한 감각으로도, 포르투갈 있는 동안 인종에 대한 색다른 시선은 느껴보지 못했습니다. 상 파울루에서 느낀, 하나되는 따스함까진 아닐지라도 말입니다.

 


좀 쉬고 다시 또 알파마 골목에 감탄하며 꼬메르시우 광장에 도착했습니다. 여길 그리 와보고 싶었던 이유는 단 하나지요. 대지진 이후 신도시 계획의 뼈대가 바이샤니 말입니다. 숙소가 있던 호시우에서 남으로 곧게 그은 3 대로의 끝맺음이 꼬메르시우 광장입니다. 아우구스타 대로를 중심선으로 금의 길(rua  de aurea)과 은의 길 (rua da prata) 축을 이룹니다. 대로 사이 사이를 메운 구두쟁이(sapateiro)의 길, 무두쟁이(correeiro)의 길 등 중세 시장이 상상되는 길이 얹혀 있지요. 남북의 길을 가로지른 동서의 길들, 그리고 엄격한 대칭으로 구획된 각 구역마다 동일한 규격의 집들을 절제하여 배치한, 당시로 담대한 도시 계획. 건물로 쓴 서사시의 끝이 바로 꼬메르시우 광장입니다.

 

새 광장이 시민의 플랫폼을 넘어 세계의 플랫폼이 될 것을 예측한 카르발류, 폼발 후작은 당시로선 엄청난 광장을 설계했습니다. 물산이 집하되는 선박이 매일 드나드는 강쪽만 뚫어두고, 탁 트인 광장의 서편엔 무기고를, 동편엔 세관을, 북편엔 민사 법원을 두어 우리 포르투갈 죽지 않았다는 위용을 과시하고, 내국인은 바이샤에서 오면서, 외국인은 테주강에서 들어오면 볼 수 있도록 염두해둔 상징적 공간입니다.

 

뭐 지금은 사진 찍기 좋은 아름다운 광장으로 사람들이 많지만, 1755년의 대지진을 한켜 깔고 보면 그 감흥이 절절합니다.

 


광장 근처에서 마지막 현지식을 합니다. 그간 좋았던거, 먹으려고 생각해뒀으나 못 먹은 메뉴를 시켰고 마지막이라 생각하니 비장하게 맛있습니다. 뇌는 뒷짐지고, 배에는 물어보지도 않고 입의 결정을 따른 식사였습니다. 해질때까지도 배가 꺼지지 않았으니.

 


여행 이야기 full story 여기를 클릭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