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1415)
Inuit Blogged
전략이란 기발한 아이디어일까요, 세부적 실행력일까요? 사실 우문입니다. 전략은 둘의 겸비이기 때문이지요. 그러나 전략가마다 스펙트럼 상에서의 위치는 좀 다르기도 합니다. 전략경영 쪽에서는 실행력에 우선순위를 두는 경향이 있습니다. 심지어, 전략따위는 상대 회사가 알아도 전혀 상관없다고 말합니다. 실행력에서 진정한 차별이 생긴다고 믿기 때문입니다. 기업전략 쪽에서는 아이디어의 차별성에 아무래도 방점을 찍습니다. 발상의 전환을 강조하는 '블루오션'이 그런 류입니다. 그리고 여기, 하나의 책이 더해졌습니다. 영어 제목도 한글 제목도 그리 아름답지 않은, '빅 씽크 전략'입니다. (원제) Big think strategy: how to leverage bold ideas and leave small thikin..
오늘은 아니고, 지난 일요일 아침입니다. 딸 아이가 차려온 아침입니다. 갓 내린 원두커피에, 빵하고 우유랑 담아왔습니다. 나름 멋낸 그 마음이 예쁘고 흡족합니다. ^^ 차려온 모양새가 꽃잎을 닮았습니다. 아빠는 밥값이라도 해야겠다 생각합니다. (I=Inuit, D=daughter and the like) Sequence I: 오늘은 규칙있는 수에 대해 공부해볼까. D: (시로요.. -.-) I: 아하하. ^^;;;; 아냐아냐 재미난 이야기야. 부담없이 해 봐. ^_^; 지금 말하는 숫자 다음에 뭐가 올지 생각해봐. 2, 4, 6, 8, 10.. D: 12! I: 맞았어. ^^ D: ^^v I: 규칙이 뭐였을까? D: 2씩 늘어나요. I: 맞아. 그리고 이렇게 규칙 있는 수의 집합을 수열이라고 해. 이름은..
공부하기 쉽습니까. 남을 가르치는건 또 어떤가요. 서양이나 동양이나 공부에는 왕도가 없습니다. 그러나, 지름길은 있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지름길은 요령으로 둘러가는게 아니라, 하는만큼 효과가 나는 교육과 공부를 의미합니다. '다산 선생 지식경영법'은 교수법의 텍스트란 관점에서도 볼 필요가 있습니다. 오늘은 그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다산 선생은 '모이를 갖다 줘도 쪼지 않는 새같이' 미욱한 바닷가 소년들을 다산학파의 영재들로 키운 능력있는 스승이었습니다. 물론 다산 자신은 제대로 된 스승없이 혼자 공부하여 일가를 이뤘으니, 가장 큰 제자는 자기 자신이겠네요. 다산 선생 지식경영법에서 제가 뽑은 교육법을 소개합니다. 원리학습 다산 학습의 핵심은 원리학습입니다. 첫째, 대학에 나오는 격물치지(格物致知)입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