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uit Blogged

인도에 미치다 본문

Review

인도에 미치다

Inuit 2007. 5. 12. 17:40
동네에 한 노인이 있습니다.
행색이 지저분한데다 거짓말을 잘하기로 유명합니다. 요즘 야간 근무로 돈을 제법 벌어 사람들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노인과 거래를 해 본 동네 사람들은 별로 유쾌하지 않은 후일담을 이야기하곤 합니다.
우연히 이 노인의 집에 들러본 후 묘한 매력에 빠진 저는, 관심을 갖고 이리저리 수소문을 하던 중 이 노인의 예전 이야기를 듣게 되었습니다.
짐작은 했지만 매우 놀랍더군요.

예전에 동네 최고 부자였던 이 노인의 집에는 보석과 금이 넘쳐났다고 합니다.
겁없는 젊은 불량배 중 하나가 이 노인의 앞마당을 털었습니다. 엄청난 보물을 노획했지요. 한번 돈 맛을 본 이 친구 연달아 17번을 약탈했습니다. 물론 큰 부자인 이 노인의 자존심에는 상처가 났겠지만 그래봤자 노략 당한 재물은 약소한 수준입니다. 집도 좀 상했지만 대문 언저리가 불탄 수준이었습니다.
하지만, 처음 길을 트기가 어려울 뿐이지 한번 길이 나면 쉬운 법. 소문을 들은 젊은 부랑아들은 이 집을 털고 또 털었습니다. 찬바람부는 윗 동네에 살던 부랑아들은 노인의 집이 햇볕 잘들어 너무 덥다고 대개 재물만 털고 불을 지르고 집으로 돌아갔습니다. 그러나 어떤 아이는 갈 집도 없어 노인집에 눌러 살며 주인 행세도 했었지요. 무굴이라고 자기 문패까지 버젓이 달았습니다.


세월이 지난 후, 엄마의 허락까지 받고 골목길 지나는 사람 '삥뜯어' 먹고 살던 젊은이들이 노인의 집에 다다랐습니다. 이 친구들 배운 것도 없고 기술도 없어 딱히 할 만한 일도 없는터였지만 싸움하나는 자신있습니다. 그래서 경비 용역으로 이 집에 취직을 했다지요. 나름대로 오래 버티다 보니 슬슬 기회가 생깁니다. 노인의 친척끼리 싸우는 틈을 타서 집사가 되고 은근슬쩍 집안의 어른 노릇까지 합니다. 결국은 조직적으로 노인의 재물을 홀랑 다 털어먹고 큰 부자가 되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그 노인은 동네에서 가장 가난하고 사람을 못 믿는 성격 고약한 사람이 되어버렸습니다.


역사에 관심많은 분은 위의 소설 같은 이야기의 주인공들이 누군지 훤히 떠오르겠지요. 노인의 이름은 힌두스탄 또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옥순

는 인도라고 불리웁니다. 마지막 조직 폭력배는 영국이고, 심심하면 노략질을 한 젊은 부랑아는 인근 이슬람 세력들입니다.

특히 가즈니의 마흐무드는 부자로 소문난 인도를 약탈해서 사는 방법을 처음 시도해 성공한 이입니다. 한번 맛들인 노략질은 끊기도 힘들어 평생 17번을 침략했다 합니다. 결국 인도의 서북부를 조금 털었음에도 엄청난 부를 축적한 가즈니는 복이 화가 되었지요. 재물을 탐낸 이웃의 구르에게 정복당합니다. 구르는 내친김에 내쳐 인도로 향합니다. 이번엔 인도의 심장인 델리까지 침탈했고, 부하인 쿠트브 웃 딘 아이바크가 스스로 술탄을 칭하며 인도의 첫 이슬람 왕조를 열었습니다.

여기서 그치면 해피엔딩이지요. 아프간의 티무르는 갠지즈까지 온 도시를 피로 물들이고 재물을 털었습니다. 그전 2세기동안 무슬림 왕조가 수탈한 것을 능가하는 약탈고를 보였다고 합니다.
한술 더 떠 나디르 샤는 같은 무슬림인 무굴제국이 350년간 축적한 부를 단 3일만에 털어먹습니다. 3년간 본국의 세금을 안 걷을 정도였으니 쓰지도 못할 재물이라 해도 무방합니다.
어찌보면 무굴은 양반일지 모르겠습니다.
비르발의 황제인 악바르는 무굴 창업자인 바부르와 그의 아들 후마윤을 이은 왕입니다. 이후 제항기르를 지나 타지 마할의 샤 자한과 아비를 공격한 아우랑제브까지 최소한 인도에 남아 살며 통치는 했으니까요. 뒤에 다시 언급할 영국은 이보다 더 합니다.

얼마나 큰 부가 있길래 그랬을까요.
단적인 예로, 나디르 샤가 노략한 '샤 자한의 공작옥좌'를 볼까요. 샤 자한이 솔로몬 왕좌를 꿈꾸며 만든 의자입니다. 1톤이 넘는 순금, 루비, 다이아몬드, 에메랄드, 진주 등 보석만 230Kg 이상이 박혔고 공작 두마리가 의자 양옆을 감싸는 모양이라 공작옥좌란 별칭이 붙었습니다. 제작에 7년이 소요된 이 의자의 비용이 타지 마할 건축비의 두배가 들었다니 그 호화로움과 가치가 얼마나 될지 짐작이 가지요.


이 모든 이슬람의 인도 침략 명분은 이교도 응징이었습니다. 무슬림 병사에게는 종교라는 명분을 주고 약탈이라는 보상을 주었습니다. 결과로 국가 수준의 부의 이전이 생기게 되었지요. 신상만은 파괴하지 말라는 애걸하는 민간인을 죽이고 철저히 금과 보석을 빼낸후 신상을 파괴해 본국의 저자 거리에 무슬림이 밟고 다니도록 했다고 합니다. 이런 종교간의 비이성은 사실 수탈의 경제논리를 종교로 포장한 통치술일 뿐입니다. 심지어 같은 무슬림인 무굴제국에 쳐들어갈 때는 '이슬람 종교의 본원에 훼손되고 있다'는 희한한 명분을 가지고 갔으니까요.

여기에서 그치면 그나마 국부적이고 일시적입니다. 당시 빈한했던 3류국가 영국은 인도를 아주 뼛속까지 철저히 털어내는 조직적 식민 수탈을 했습니다. 결과로 세계의 선두국가가 되는 디딤돌이 되었지요. 애초의 영국은 포르투갈에 선수를 빼앗기고 기술과 교역품도 변변치 않았습니다. 오죽하면 뭄바이를 포르투갈 공주가 혼수로 영국에 선물했겠습니까. 비빌 언덕도 없어 인도의 해군 용역을 하며 버티다가 결국 벵갈지역을 기반으로 동인도 회사가 야금야금 인도의 경제권과 정치를 장악해 나가지요.
놀라운 점은, 당시 무굴의 인도는 세계 GDP의 24.4%를 차지하고 있었고, 영국은 3%가 채 안되었다는 사실입니다. 이후 영 제국의 식민지로 전락하면서 200년이 채 안되는 세월동안 인도는 절반인 12.2%로 줄지만, 영국은 세배가 넘는 9.1% 비중으로 급성장을 했습니다. 이만하면 제대로 털었다고 해야지요.

물론, '인도에 미치다'가 수탈사의 관점으로 지어진 책이라서 인도가 각별히 불쌍해 보이는건 사실입니다.
카스트의 영향으로 크샤트리아만 전쟁에 임했던 점, 이웃나라에 별 관심이 없고 전략적 제휴보다는 지역간 감정적 반목이 강했다는 점 등 인도 자체적인 문제점을 가리고 희생의 결과만 부각하는 주장이 온전히 타당하지도 않습니다.

하지만 중요한 점은 이겁니다.
인도는 예전부터 내내 부자였다는 점, 정신적으로는 완전히 정복당하지도 수탈 당하지도 않았다는 점. 그리고 그 인도가 깨어나고 있다는 사실이지요.
흥미있는 나라에 대해 흥미있는 관점으로 엮어낸 이야기라
문명사 서적, 인도 여행책, 사회과 부도를 곁에 펼쳐 놓고 이리 저리 상상하며 즐겁게 읽었던 시간이었습니다.

* 예약된 포스팅입니다.

'Review'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컬처 코드  (20) 2007.05.20
위대한 결정  (10) 2007.05.19
일하면서 책쓰기  (10) 2007.05.09
당신의 책을 가져라  (29) 2007.05.06
카네기 인간관계론  (18) 2007.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