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1414)
Inuit Blogged

실리콘 밸리에 취업하는 방법은? 정답: 실리콘 밸리로 이사가라. 페이스북의 COO 셰릴 샌드버그의 이력은 그야말로 다채롭고 경이스럽습니다. 하버드 경제학과를 수석으로 졸업하고 월드뱅크에 들어갔고, 이후 인도에서 빈곤퇴치 일을 합니다. 이후 맥킨지에 잠시 일하다 워싱턴 정계에 입문 비서로 정책을 다룹니다. 다시 밸리로 넘어와 구글에서 광고부문의 막대한 사업을 일군 후, 페이스북에서 최고 운영 책임자가 되지요. 능력도 뛰어나지만 경력의 스펙트럼이 상상을 초월하게 넓습니다. 하지만 한발 가까이 들여다보면 뜬금 없어 보이는 경력상의 점과 점을 잇는 사람이 있습니다. 월드뱅크에서 함께 일했던 래리 서머스를 따라 워싱턴에 갔고, 워싱턴에서 근무할 때 알던 구글의 에릭 슈미츠의 조언을 새겨듣고 밸리로 갑니다. 결국 ..

누구나 한켠은 외롭지만, 그럼에도 가장 외로운 직업 중 하나는 사장 아닐까 싶습니다. 대표니 CEO니 금빛 찬란한 휘장을 떼고 사장. 망망대해 위 조각배의 선장같은 묵직한 책임과 불확실성의 심연을 오가는 직업이지요. 남들이 다 잘한다고 칭찬할 때 실상 내면은 죽어가고 있기 십상이구요. 스타트업의 성장을 돕는 제 일의 특성 상, 꽤 많은 스타트업 대표들과 이야기 나누다보면 고독과 고통의 지점까지 같이 내려갔다 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어떨 때는 그 여정에 드는 시간보다도, 공감에서 유발되는 감정의 소모가 크지만 혹시라도 대화와 지지가 도움이 될까 어깨를 내주는 편입니다. 그런면에서 '실리콘 밸리의 요다'로 불리우며 스타트업 대표의 영적인 스승, 심리치료사 역할을 하는 제리 콜로나의 이 책을, 저는 많은 궁금..

부자가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열심히 일해라, 아껴 써라, 네 몸값을 올리는게 중요하다 등등 많은 답이 있겠지요. 구체성에서는 실전적인 재테크의 전술을 논할 수도 있고, 장기적이고 거시적인 자산배분이나 투자 전략을 논할 수도 있을겁니다. 한편 이 책은 '부자가 뭔지 생각해보자'에서 출발합니다. 전술이나 전략과는 결이 다른, 부자 철학의 서라고 볼 수 있습니다. 회계사 출신답게 저자는 책의 많은 부분을 개념 정리에 할애합니다. 자산이 뭔지, 내가 가진 자산이 진짜 뭔지 묻습니다. 일반적 가구의 가장 큰 자산은 집과 차입니다. 하지만 과연 이 두 자산이 진짜 자산일까요. 집은 한채라면 아무리 올라도 주인이 죽어야 풀려난다는 자산입니다. 차는 갈수록 값이 떨어지고 게다가 유지관리비까지 추가로 지출됩니다...

이제야 알겠다. 어떤 주제가 마음에 들면 연관된 책을 여러 권 읽는게 제 공부버릇입니다. TRIZ에 꽂혀 네 권을 연달아 읽었던게 벌써 7년전 쯤 되네요. 당시 결론은, '대략 뭔진 알겠는데 명확하겐 모르겠다' 였습니다. 딱 한권을 빼곤 저자 스스로도 무얼 말하는지 모르는 듯했습니다. 자연히 이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트리즈로 진짜 가치를 내는 사람은 책을 쓸 이유가 별로 없고, 트리즈 컨설턴트라도 좋은 책을 쓰면 좋은데 이 역시 저변이 넓지 않은듯 하다. 오로지 책 써서 강의 장사하려는 강사만 득실대는듯 하다. 그래서 읽어도 읽어도 어렴풋할 뿐 끝내 모호했지요. 경영 관련했다면 어떤 주제라도 세 권 정도 읽으면 꽤 자세히 내용을 파악했을겁니다. 저자가 풍부하니까요. 제 생각이 그리 틀리지 않았음은, 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