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uit Blogged

위대한 패러독스 경영 본문

Review

위대한 패러독스 경영

Inuit 2007. 4. 7. 10:27


수금지화목토천해 명.

지구와 직선거리 15억 km. 태양과 지구간 거리의 10배.
빛의 속도로 84분. 우주선으로는 행성 중력을 이용한 추진력(sling-shot)을 받기 위해 32억km 거리를 7년 걸려 도착 가능한 별.
그리고 원시 지구와 가장 비슷한 대기조건을 가졌으리라 추측되는 위성인 Titan을 데리고 있는 그 별.
대기와 표면의 경계 구분이 모호하게 가스로 이루어진 저밀도 행성.
태양계 형제별 중 유일하게 테를 두른 행성.

바로 토성입니다.

그 엄청난 거리로 인해 아직까지 잘 알려진 바가 없는 이 별에 대해 탐사를 하려면 어떤 작업이 필요할까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원제: The titans of saturn


'위대한 패러독스 경영'은 토성과 그 위성인 타이탄 착륙 탐사를 위해 만들어진 카시니-호이겐스 (Cassini-Huygens) 프로젝트를 기록한 책입니다. 지금껏 우주 탐사 프로젝트가 적잖이 있었는데, 카시니-호이겐스라고해서 특별히 다를까요.

저자의 말을 빌면, 카시니-호이겐스는 특별히 다르고 의미있게 성공적인 프로젝트입니다. 내용을 알면 고개가 끄덕여집니다. 33억달러의 비용. 19개국 250의 과학자 및 5000의 공학자가 참여. 프로젝트 준비기간 14년. 일단 외형만 봐도 입이 딱 벌어집니다.
조선이 국가단위 프로젝트라면, 항공은 국제 프로젝트가 효과적입니다. 그리고 우주는 지구적 프로젝트에 해당합니다. 그러나 이해관계가 첨예한 미국의 NASA와 유럽의 ESA가 합작하여 하나의 목표를 찾는 것은 오월동주만큼이나 어려운 일입니다.

바로 그 점 때문에, 이 세상에서 가장 복잡하고 기술적으로 어려우면서도 가장 통제하기 힘들며, 목표가 모호하며 지지가 휘발적이라 오래 지속가능하지 않은 프로젝트가 바로 우주 탐사 프로젝트입니다. 카시니-호이겐스는 어떻게 토성 탐사를 기획하고 개발하고 발사하여 성공적인 데이터 수집까지 완벽한 성공을 거두었을까요. 기술과 관리 모든 측면에서 말이지요.

책에서는 '패러독스 경영'을 꼽습니다. 저자들은 프로젝트 내부와 외부에서 다양한 패러독스 상황을 찾아내고 이러한 모순상태를 극복하는 고차원적 관리라고 주장합니다.

예컨대, 우주 프로젝트는 그 자체로 모순을 갖고 있습니다. 우주 진입은 탈출속도를 만족하는 발사체를 확보함에서 시작합니다. 이 발사체는 바로 장거리 미사일 기술입니다. 일전에 북한이 장거리 미사일 실험을 하고 우주 실험인데 실패했다고 주장했던 그 맥락이지요. 따라서, 각 국가는 우주탐사라는 국가적 낭만과 국민적 열정의 총합으로 포장을 하지만, 얻고자하는 기술은 대량살상과 전략 타격의 군사기술임이 내재적 모순입니다.
카시니-호이겐스만 해도, 막대한 자금을 고작 토성 탐사에 쓰냐고 타박받던 제안이었습니다. 그런데 1986년 덜컥 챌린저호 폭발사건이 발생합니다. 백악관과 미국 대통령은 우주기술에 대한 굴하지 않는 의지 표명을 위해 전격적으로 카시니-호이겐스 프로젝트를 지지하여 세상에 빛을 봅니다.

일단 프로젝트가 시작되어도 갈 길은 멀고 힘듭니다.
카시니-호이겐스는 국제적 장기 프로젝트입니다. 비영리에 내로라하는 전문가 집단의 느슨한 연합입니다. 통솔과 진척 그 자체가 큰 일입니다.
구체적으로는, 신뢰와 감시의 모순상황입니다. 한 팀으로서의 신뢰와 무결한 성과를 위한 비판적 감시가 조화를 이뤄야 합니다.
다국적 연합군이면서 전문성이 모두 다른 팀원들이 갖는 다양성과 일체감간의 상충은 어떤가요. 탐사선을 토성까지 무사히 보내는 공학자들과 도착후 데이터를 받는 과학자간의 trade-off는 또 얼마나 어려울까요. (우주항공 프로젝트에서 1 파운드의 payload 추가는 수십배의 bus 시스템 부하를 가져옵니다.)

결국 카시니-호이겐스 프로젝트에서는, 비영리 전문가 연합 프로젝트의 고질적 문제를 구성요소 그 자체의 내재적 속성으로 해결했습니다.
먼저 우수한 인적 자원의 자질과 능력을 팀웍으로 전환했습니다. 그리고 영리가 개입되지 않는 속성상 고차원적이고 순수한 비전과 목표를 세워 내적 동기로 승화시켰습니다. 실제로 생기는 전문가의 충돌은 문제 추적보다 해결중심적 문화를 정착하여 생산적 에너지로 변환하였습니다.

우주항공을 전공한 바 있고, 국제적 항공 프로젝트를 직접 수행해 본 제 경험으로 비춰보아도, 카시니-호이겐스 프로젝트는 매우 걸출한 성과임에 분명합니다. 인류의 지혜와 인간 성숙도의 완결판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비판적으로 보자면 책의 주장처럼 인류의 breakthrough로까지 보기는 힘들고 outlier sample이라는 생각이 강하게 듭니다. 만일 이것이 체계적 학습이라면 미국과 유럽의 시스템은 다른 국가가 따라가기 힘든 진일보가 될테니까요. 그러나, 아직 체계적으로 습득했다는 확증은 잡기 힘듭니다.


총평하면, 책 자체는 별로 추천하고 싶지 않습니다. 매우 지루하고 하품나는 수준입니다. 유럽스럽게 과도한 진지함입니다.
더우기 이 책에서 컨셉으로 주장하는 '패러독스 경영'은 경영이나 조직 관리를 개선할 수 있는, 실천적이고 명확한 개념이 아닙니다. 프로젝트의 현상을 후행적으로 설명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직접 배울 점이 없습니다. 물론 사례 자체는 귀감으로 삼을 만하지만 현실에 써먹기 힘든 실험실 상황입니다. 그런 이유로 원제 자체도 패러독스 경영을 전면으로 내세우지는 않았던게지요. 패러독스 경영은 국내 출간의 모티브일 뿐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이 소중한 이유는, 인류의 미래에 대한 희망을 주기 때문입니다.
아직 인류 스스로 구원할 지혜까지는 조금 모자랄지 모릅니다. 그러나 카시니-호이겐스에서 거둔 성공처럼 의미있는 몇 개의 상황이 축적됨에 따라, 인류의 지혜와 역량이 충분함을 증명하고 그 기록을 생생해 전해주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빠른 시일내에 의미있는 돌파가 이뤄질테지요.

'Review'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재들의 창조적 습관  (27) 2007.04.14
전쟁의 기술  (18) 2007.04.08
인재들이 떠나는 회사, 인재들이 모이는 회사  (18) 2007.03.20
변경 (辨經)  (21) 2007.03.06
회사가 당신에게 알려주지 않는 50가지 비밀  (38) 2007.03.03